
10 9월 왜 아이들과 프로젝트를 하는가?
미래를 살아갈 아이들이 갖추어야 하는 것은 무엇일까요? 교육과 관련된 가장 중요한 질문일 것입니다. 만약 자신의 경험에 얽매어 변화를 보지 못하거나, 변화를 감지하지만 그것의 올바른 방향을 보지 못한다면 지금 아이들의 미래를 준비시킬 수 없습니다.
컴퓨터가 세상에 나오고 인터넷으로 세상이 연결되고, 새로운 기업과 인류를 진보시킨 서비스들이 많이 나타났습니다. 그 시기 미래를 바로 보고 새로운 시작을 했던 사람들은 지금 누구나 아는 사람이 되었고 지난 100년간의 기업 순위를 극적으로 바꾸어 놓았습니다.
새로운 미래를 바로 보았던 그들이 갖고 있었던 것은 무엇이었을까요? 많은 사람들이 기술이라고 합니다. 다른 사람이 알지 못했던 기술을 알았고 그것의 미래를 예측할 수 있었다고 합니다. 그러나 정확한 것은 기술 자체나 기술의 발전가능성이 아니라 가치와 사람에 대한 이해였습니다. 예를 들어 래리 페이지가 구글을 만들 때 그 기술을 그만 알았을까요, 이미 다른 검색엔진들이 있었으며, 많은 학생과 교수들이 기술의 발전방향을 알고 있었습니다. 그가 성공한 이유는 사람들이 무엇을 필요로 하고 변화한 미래에 어떤 것이 중요할 것인가를 알고, 시작 후 끊임없이 전략을 바꾸고 나타나는 현실에 적응한 결과입니다.
이처럼 성공은 결과가 아니라 과정입니다. 그렇다면 인공지능이 보편화될 미래 우리나라에서 세계적 기업이 나오게 하는 방법은 무엇일까요? 기술에 집착하고 어렸을 때부터 기술부터 가르치는 것이 맞을까요?
성공적인 기업가를 키우고, 새로운 비즈니스를 만들어 내기 위해서는 기술과 더불어 올바른 가치관, 포기하지 않는 끈기와 충분한 기회를 제공하여야 합니다.
성적으로 배움의 가치가 평가되고, 경쟁에서 이기는 것으로 역량이 펑가되며, 이력만으로 가능성이 평가되어서는 안됩니다.
아이들과 프로젝트를 함께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생각이 실현되는 기쁨, 경쟁보다는 서로 배우고 함께 만들어가는 것의 위대함, 이력보다는 네가 직접 한 것으로 삶을 쌓아가는 보람을 느끼기 바래서입니다.
프로젝트는 시간과 자원의 관리가 핵심입니다. 주어진 시간에 사용가능한 자원으로 얼마나 가치있는 것을 만들 수 있는가가 중요합니다. 모든 사람들은 제한된 시간을 쓰며 살고 무한한 자원을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그렇기에 삶에서 시간을 잘 관리해 낭비하지 않고 없는 자원을 탓하기 보다는 가진 자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능력이 필요합니다. 이 과정에서 새로운 기술을 배워야겠다는 필요가 생긴다면 기술은 자연스럽게 갖춰질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아이들의 수준은 어른이 정할 수 없습니다. 믿고 기다려주면 아이들은 늘 기대 이상을 해 냅니다. 그래서, 결코 아이들이니 못할 것이라 전제하지 않습니다. 해보는 것이지요. 시간을 낭비하지 않고 가치있는 도전이라면 성패와 상관없이 배움이 있지 않을까요.